2022년 63차 함평 천주봉 둘레길
폭염경보속 산행
오늘의 야생화 낭아초 사위질빵 누리장나무
산행기록
○ 일시 : 2022.8.6(토) 09:37 ~ 14:48
○ 장소 : 함평 천주봉
○ 참석 : 4인(청량, 아우야, 둥굴레, 산중애)
○ 높이 : 천주봉 378m / 누적고도 298m
○ 거리 : 11.2km
○ 시간 : 5.8시간(휴식2.1시간) / 이동시간 0.5시간
○ 코스 : 원선제 → 임도따라 → 천주봉 → 임도따라 → 월봉리 관동마을
○ 배지 : 천주봉
○ 특이사항 : 임도산행
<천주봉(天柱峰) >
함평군의 동부 나산면의 서쪽에 위치한 산이다(고도:378m). 함평군의 산 중에서 가장 넓으며, 불갑산 · 군유산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평릉천과 월봉천의 발원지이면서 분수령을 이루고 있다. 조선 전기의 지리지에는 지명에 관한 기록이 없다.
『함평군읍지』에 천주봉은 "함평군 동쪽 30리에 있다."고 수록되어 있고, 『조선지지자료』에도 평릉면 월평리에 천주봉(天柱峰)의 기록이 있다. 『조선지형도』(나주)에 천주봉으로 기재되어 있고 『함평군지』에 천주봉(天柱峰)은 "나산면에 있고, 위에는 화암(畵岩)이 있고, 아래는 용추(龍湫)가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천주봉 [天柱峰, Cheonjubong] (한국지명유래집 전라 · 제주편 지명, 2010. 12)

하늘의 기둥이라는 천주봉에 통신주가 떡하니(근래 세워진 전망대)


천주봉 임도

원선제 아래에서 산행시작

원선제도 가뭄입니다

노루오줌도 끝물

순환임도길이 연결되었다능

조그마한 계곡마다 맑은 물이 흐르고

등골나물이 한창입니다.
<등골나물>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선점(腺點)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맥은 6~7쌍으로서 올라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꽃은 흰 자줏빛으로 두상꽃차례[頭狀花序]를 이루고 7∼10월에 핀다. 총포(總苞)는 원통형이고 선점과 털이 있으며, 갓털은 흰색이고 4mm 정도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11월에 익는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한방과 민간에서 황달, 통경, 중풍, 고혈압, 산후복통, 토혈, 폐렴 등에 약제로 스인다. 한국 ·중국 ·일본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등골나물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순환코스 12km라 하는데

특이한 식물도 보입니다. 나중에 찾아보니 골풀로 보입니다.

벌개미취가 한창

우측 불갑산 연실봉에서 이어지는 철성지맥

<철성지맥>
철성지맥(鐵城枝脈)은 영산기맥의 불갑산(518m)과 모악산(352.5m) 사이에 위치한 용봉(307m)에서 남쪽으로 분기해서 철성산(265.5m), 선암산(151.8m), 속금산(173.1m), 이별바우산(107.1m)을 거쳐 함평군 학교면 월호리 중천포에서 영산강에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31.2 km 되는 산줄기인데 서쪽으로 함평천, 동쪽으로 고막원천의 수계를 경계 짓는다.
[출처] 철성지맥 - 211225|작성자 킹드래곤

그늘에서 휴식중
게스트들이 오셔서 중식을
천주봉 가는길
정상부 모습
이건 뭐 영지
정상부 통신타워
나산 소재지
천주봉 설명판
정상부 인증
하산길
연실봉이 보이고 철성지맥 능선
임도길
낭아초도 한창
원선리 방면